TryHackMe/Cyber Security 101

[TryHackMe #5] Linux Fundamentals Part 2 실습

ahhyun98 2025. 5. 3. 22:00

 

 

이 글은 TryHackMe의 유료 실습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이다.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실습의 구체적인 내용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저작권이 있는 자료는 그대로 포함되지 않았다. 

본 포스트는 학습과 교육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TryHackMe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배포하지 않는다. 

 


 

Linux Fundamentals Part 2에서는 리눅스의 파일 권한, 사용자 및 그룹 관리, 그리고 find 명령어에 대해 실습을 진행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1. SSH 접속 : 원격 리눅스 시스템 

 

이번 실습에서는 SSH 프로토콜을 이용해 원격 리눅스 시스템에 직접 접속했다.  

SSH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된 방식으로 안전하게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기본 접속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ssh 사용자명@[IP 주소]

 

※ 참고 : 비밀번호 입력 시 화면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지만,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이다. 

 


 

2. 파일 권한 이해하기

 

리눅스에서는 각 파일마다 소유자(owner), 그룹(group), 기타 사용자(others)에 대해 읽기(r), 쓰기(w), 실행(x) 권한이 설정된다. 

ls -l 명령어로 파일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drwxr-xr-x 2 tryhackme tryhackme 4096 May  4  2021 myfolder

 

  • d : 디렉터리
  • rwx : owner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다 가지고 있다.
  • r-x : group이 읽기,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다
  • r-x : others가 읽기,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다. 

※ 여기서는 실습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실제 운영 환경에서 others에게 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보안상 위험할 수 있다. 시스템의 민감한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외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기 때문이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 권한을 설정해야 한다. 

 


3. 사용자와 그룹 관리

 

  • 현재 사용자 확인 : whoami
  • 사용자 전환 : su [username]
  • 그룹 확인 : groups
  • 사용자 추가 : sudo useradd [username]
  • 그룹 추가 : sudo groupadd [groupname]

 


4. chmod, chown, chgrp 명령어 실습

  • chmod : 권한 변경  
chmod 755 디렉토리명

 

디렉터리 권한을 755으로 변경한다. 

rwx, rx, rx

 

이때 파일의 최대 권한은 666이고 디렉터리의 최대 권한은 777이다. 

 

  • chown : 소유자 변경
chown [새로운 소유자명] [파일명]

 

  • chgrp : 그룹 변경
chgrp [새로운 그룹명] [파일명]

 

 

 

=>  myfolder의 group, others의 실행 권한을 없앴다.

 


 

5. find 명령어로 파일 검색하기

 

리눅스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파일을 검색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이름, 권한, 크기, 수정 시간 등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어 시스템 관리나 보안 분석 시 유용하다.

 

find [검색 시작 경로] [조건] [실행할 작업]

 

test 디렉터리에 example.txt 파일을 만들고 example.txt 파일이 있는지 find 명령어로 확인해 보겠다. 

 

 

 


 

6. 마무리

이번 실습을 통해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와 파일 권한 관리 개념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 운영과 관련된 프로세스 관리나 서비스 관리 등을 실습할 예정이다. 

 

 

 

 

이 블로그는 불법 해킹 및 악의적인 활동을 지양하며, 그런 행위는 절대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실습은 허가된 환경에서만 진행해야 하며, 법적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