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뉴스

영화 속 해킹 기술, 현실에서 가능한가?

ahhyun98 2025. 5. 15. 16:07

 

영화 속 해킹 장면들은 종종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해킹 기술이 얼마나 빠르고 화려하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현실에서 해킹은 그보다 더 복잡하고 치밀하게 진행된다.

 

이번 글에서는 영화 속 해킹 기법들을 실제 사이버 보안 사건과 비교하여, 영화 속 해킹 장면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1. 금융 시스템 해킹 & 주가 조작

 

영화 속 장면:

주식 그래프가 갑자기 욕설 형태로 변하거나, 특정 메시지를 띄우는 장면, 해커가 주가를 조작하여 투자자들을 속이는 방식이 등장한다. 

 

실제 사례

2024년, 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인 Snowflake를 사용하는 여러 글로벌 기업들이 해킹 공격을 받아 고객 데이터가 대규모로 유출되었다. 해커 그룹 UNC5537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통해 탈취한 자격 증명을 바탕으로 기업 시스템에 접근해 민감한 정보를 빼냈고, 이를 다크웹에서 판매하거나 협박 수단으로 활용했다. 공격 대상 중에는 금융 및 투자 업계도 포함되어 있어 정보 유출로 인한 2차 피해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기업 신뢰도와 시장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준의 침해였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UNC5537 해커 조직의 스노우플레이크 고객 데이터 탈취 시도가 성공한 이유

멀티 클라우드 데이터웨어하우스 플랫폼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 고객의 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 인스턴스를 노리는 데이터 갈취 캠페인이 발견됐다.

m.boannews.com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가능하다. 단, 영화처럼 주가 그래프 자체를 조작하는 건 어려우나,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인사 정보, 미공개 투자 정보 등)를 유출하거나 조작해 주가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방식은 실제로 사용된다. 

 

사용 가능한 공격 기법

  •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 사용자 자격증명(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훔치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이메일 첨부 파일이나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 크리덴셜 스터핑 : 이미 유출된 아이디, 비밀번호를 다른 사이트에 무작위로 넣어보는 공격 기법이다. 동일한 비밀번호를 여러 서비스에서 쓸 때 특히 위험하다.
  • 다크웹 판매를 통한 시장 교란 정보 유포
  • 중간자 공격 : 공격자가 사용자와 서버 사이에 몰래 끼어들어 통신 내용을 가로채거나 조작하는 방식이다. 

2. 방송국 해킹

 

영화 속 장면:

해커가 방송국 시스템에 침투해 생방송 중 메시지를 삽입하거나, 드론이나 원격 해킹을 통해 방송 내용을 조작하는 장면은 종종 영화에서 긴장감 넘치는 연출로 사용된다. 방송 중 화면이 갑자기 해커의 메시지로 바뀌거나, 정부 인물을 조롱하는 이미지가 등장하는 설정이 대표적이다. 

 

실제 사례:

2022년 10월, 실제로 이란 국영방송(IRIB)Adalat Ali(알리의 정의)라는 해커 그룹에게 해킹당했다. 생방송 도중 이란 최고 지도자 얼굴에 조준선이 그려진 이미지와 함께 반정부 메시지가 약 10초간 방송되었다. 

 

이 사건은 송출 시스템 해킹을 통해 생방송에 개입한 것으로 분석되며, 물리적 침투 여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충분히 가능하다. 방송국의 송출 시스템은 종종 오래된 소프트웨어나 인증 미비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권한만 확보하면 방송 송출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공격 기법

  • 내부 침투 후 권한 상승
  • RTMP/HLS 스트림 조작 또는 인젝션 : 방송 송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해킹해, 방송 화면이나 오디오를 바꾸는 공격 방식이다. 
  • 방송 장비의 취약점 이용 (ex. IP 기반 송출 시스템 해킹)

3. 사무실 전등 해킹과 IoT 기기 공격

 

영화 속 장면:

사무실 조명이 깜박이면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해커가 온도를 조작해 건물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실제 사례:

2016년 미라이 봇넷 공격에서는 IoT 기기인 CCTV, DVR 등을 감염시켜 대규모 DDoS 공격이 수행되었다. 이 봇넷은 기본 관리자 계정과 비밀번호가 설정된 채 방치된 장비들을 자동으로 감염시켜, Dyn이라는 주요 DNS 제공업체를 마비시켰다. 이로 인해 현 X (구 트위터), 넷플릭스, 뉴욕 타임즈 등 수많은 대형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접속 불가 상태가 되었다.

 

이 공격은 IoT 기기의 보안 미비가 얼마나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가능하다. 특히 IoT 장비는 취약한 인증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기본 계정 사용, 업데이트 미비, 원격 제어 포트 개방 등으로 쉽게 침투 가능하다. 단, 영화처럼 조명을 깜박이며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장비 사양에 따라 제한적이다. 

 

사용 가능한 공격 기법:

  • 기본 관리자 계정 크리덴셜을 통한 인증 우회 : IoT 기기의 초기 관리자 계정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누구나 접속 가능한 취약점이 된다. 
  • Telnet, SSH 포트를 통한 원격 접속
  • 감염된 IoT 기기들을 활용한 봇넷(여러 대의 감염된 IoT 기기를 하나의 명령으로 제어해 공격에 활용하는 네트워크) 자동 구성
  •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펌웨어 익스플로잇

4. 다크웹을 통한 신원 은폐 & 악성코드 유포

 

영화 속 장면:

해커가 Tor 브라우저를 사용해 자신의 흔적을 감추고, 다크웹에서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해킹 툴을 거래한다. 

 

실제 사례: 

1. 한국인 개인 정보 4억 건이 다크웹에서 유통된 사건이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한국인 개인정보 4억건 다크웹 떠돈다

다크웹에 떠돌아다니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4억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디(ID)·패스워드, 이메일, 주민등록번호, 집주소, 휴대폰 번호 등 한국인 개인정보가 마치 해커들의 '공공재'

www.etnews.com

 

2. 카스퍼스키, 다크웹에서 230만 개 은행카드 정보 유출을 확인했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카스퍼스키, 다크웹서 230만개 은행카드 유출 확인

최근 2년간 230만여개의 은행카드 정보가 다크웹에 유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카스퍼스키는 자사 디지털 풋프린트 인텔리전스(Digital Footprint Intelligence)팀이 지난 2023년부터 2024년까지 데이

m.boannews.com

 

3. 다크웹에서 개인정보 27억 건 유출된 사건이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리포트] “다크웹에 내 정보가?”…개인정보 27억 건 유출 ‘주의’

정확하고 빠른 뉴스 라디오코리아 뉴스

www.radiokorea.com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가능하다. 실제로 다크웹에서 해커들은 개인정보와 툴을 거래하고 사이버 범죄 생태계를 구성한다. 다크웹은 특히 공격자 추적이 매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사용 가능한 공격 기법:

  • Tor + 브릿지 서버 + Double VPN 조합 : 자신의 흔적을 숨기기 위해 Tor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그 위에 VPN을 두 번 거치는 방식으로 추적을 어렵게 만든다. 
  • 익명 지갑 기반 암호화폐 거래 : 다크웹에서는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익명성이 보장되는 지갑 주소로 비트코인이나 모네로 등의 가상 자산으로 주고받는다.
  • RAT 및 랜섬웨어 유포를 위한 드롭 사이트 운영 : 해커가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임시 웹사이트. 피해자가 이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한다. => RAT는 사용자의 PC를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악성코드이며, 랜섬웨어는 파일을 암호화하고 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이다. 

5. 결론

영화 속 해킹 기술은 극적인 장면을 위해 과장되거나 비현실적으로 묘사되지만, 그 안에는 실제 보안 위협과 유사한 부분들이 존재한다. MITM 공격, IoT 해킹, 다크웹을 통한 범죄 등은 영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이버 공격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법이다. 

영화 속 기술들이 실제 공격 기법과 맞닿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넘기지 않고 현실의 위협으로 인식하고 대응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앞으로 영화 속 해킹 기법을 분석하고 실제 보안 위협을 대비하는 방법을 학습해 봐야겠다. 

 

 

 

 

이 블로그는 불법 해킹 및 악의적인 활동을 지양하며, 그런 행위는 절대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실습은 허가된 환경에서만 진행해야 하며, 법적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보안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유심 해킹 사건 분석  (4)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