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서버 6

리눅스 네트워크 서버 - Nginx 웹 서버 설치 및 가상 호스트 설정

이번 실습에서는 Nginx 웹 서버를 리눅스에 설치하고, 가상 호스트와 location 블록 설정까지 실습하였다. 성능이 뛰어난 웹 서버로 유명한 Nginx는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Apache를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1. Nginx란?가볍고 빠른 웹 서버 및 리버스 프록시 서버비동기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로 높은 동시 접속 처리 가능리버스 프록시, 로드 밸런싱, 정적 파일 서빙, HTTP/HTTPS 지원프록시의 종류종류설명포워드 프록시클라이언트 => 프록시 => 인터넷리버스 프록시인터넷(사용자) => 프록시 => 내부 서버 (Nginx 주 사용 방식) 2. Nginx 설치 및 실행apt updateapt install nginx 설치 후 서비스 확인 및 시작 :systemctl is-..

리눅스 핵심 네트워크 서버 - BIND DNS 구축 실습

이번 실습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BIND(Berkeley Internet Name Domain)를 사용해 DNS 서버를 구축하고, 정방향 및 역방향 zone 파일을 직접 설정해 보았다. 실제 도메인을 직접 등록하지 않고도 로컬 환경에서 도메인을 nslookup, ping으로 확인해 보는 과정까지 경험해 보았다. 1. DNS란? DNS(Domain Name System)는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이다.ex) ahhyun.co.kr => 192.168.x.x2. BIND란? BIND는 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DNS 서버 소프트웨어이다. 정방향(도메인=> IP), 역방향(IP=> 도메인) 변환을 모두 지원한다. BIND 주요 설정 파..

리눅스 Application 네트워크 서버 - DHCP 서버 구축 및 설정 실습

이번 실습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DHCP 서버(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구축해 보았다. DHC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게 자동으로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등 네트워크 정보를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DHCP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구성 파일을 수정하여 실제 IP가 자동으로 할당되는 과정을 실습했다. 1. DHCP란?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내 클라이언트 장치에 자동으로 다음 정보를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이다.IP 주소서브넷 마스크게이트웨이 주소DNS 서버 주소DHCP 작동 순서1. 클라이언트 PC 부팅2. DHCP 서버에 IP 요청 (DHCPDISCOVER)3. 사용 가능한 ..

리눅스 Application 네트워크 서버 - SSH 서버 구축 및 MobaXterm 활용

이번 실습에서는 리눅스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SSH 서버 환경을 구축하고, Windows 환경에서 GUI 기반으로 접근 가능한 툴인 MobaXterm까지 활용해 보았다. 원격 서버 접근, 설정 파일 편집, 서비스 시작과 보안 설정 등 SSH 환경에 대해 실습하였다. 1. SSH란?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안전하게 로그인하거나 명령을 실행하고, 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telnet, rlogin 등을 대체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암호화된 연결 제공 (보안 강화)인증 기반 접속명령 실행 / 파일 전송 / 터널링 기능 제공2. SSH 서버 설치apt updateapt install openssh-server 설치가 완료..

리눅스 핵심 네트워크 서버 - NFS(Network File System) 서버 구축 및 마운트 실습

이번 실습에서는 NFS(Network File System)를 사용하여 Linux 시스템 간 디렉터리 공유를 구성해 보았다. Samba와는 달리 NFS는 Unix/Linux 계열에서 사용되는 전용 공유 프로토콜이며, 설정이 간편하고 성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1. NFS란? 네트워크 망을 통해 Unix 또는 Linux 운영체제 컴퓨터 간 저장 공간을 공유하는 기술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며, Samba와는 사용 방식이 다르다. 2. NFS의 특징 및 장단점1) 특징 NFS로 공유한 파일은 일반적인 소유권과 접근 권한이 그대로 적용된다.원격 사용자도 UID가 동일하면 자신의 파일처럼 접근 가능. 루트 권한 사용자도 공유 디렉터리에서는 제한받을 수 있다. 2) 장점설정이 간단하고 파일 공..

리눅스 Application 네트워크 서버 - Samba 설정 및 사용자 공유 실습

이번 실습에서는 리눅스에서 Windows와 파일 공유가 가능한 네트워크 서버 구성을 목표로 Samba(삼바)를 설치하고 설정하였다. Samba는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SMB/CIFS 프로토콜을 리눅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로, 리눅스와 윈도우 간 파일 공유를 가능하게 해 준다. 1. Samba란?Samba는 SMB(Server Message Block) 혹은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프로토콜을 구현한 리눅스 소프트웨어이다. 주로 Windows Linux 간 파일/프린터 공유를 위해 사용된다. Windows에서 \\서버 IP 형식으로 접속 가능하다. 2. Samba 설치 및 기본 설정 apt updateapt install samba Samba 설정 파일은..